임 슬 령 ( Lim, Seullyeong )
蹟
2024.05.22 - 05.31
VIEW






작가노트
공예의 재료를 탐구하는 길, 蹟
공예를 구성하는 다양한 재료의 특성에 관심을 두고 많은 작업들을 해왔습니다.
운이 좋게도 예고, 학부, 석사 과정에서 다양한 공예 재료를 체험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소묘, 디자인, 동양화, 서양화, 조소 등으로 실기시험을 보았었고, 나무, 돌, 흙, 금속, 종이, 칠보, 도자, 섬유, 유리, 옻칠 등을 비롯한 수많은 전통 공예 재료로 작품을 제작해볼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공예 재료로 작품을 제작하며 자연스럽게 각 재료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물성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박사과정은 공예사학을 전공하면서 모든 공예 재료는 역사적으로 목적성에 맞게 쓰이며 문화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공예의 재료는 모두 제각기 고유한 특성으로 활용되지만, 특히 옻칠은 도료(장식재)로써 폭넓은 소재(나무, 종이, 삼베, 금속, 도자, 가죽 등)에 활용되었고, 고대부터 접착제로써도 사용되어왔습니다. 장식, 도장재로 접착제로 다양한 공예 소재와 함께하는 특징을 가진 옻칠에 대한 흥미로 깊어지는 방향성을 풀어봅니다.
임 슬 령 ( Lim, Seullyeong )
蹟
2024.05.22 - 05.31
VIEW
작가노트
공예의 재료를 탐구하는 길, 蹟
공예를 구성하는 다양한 재료의 특성에 관심을 두고 많은 작업들을 해왔습니다.
운이 좋게도 예고, 학부, 석사 과정에서 다양한 공예 재료를 체험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소묘, 디자인, 동양화, 서양화, 조소 등으로 실기시험을 보았었고, 나무, 돌, 흙, 금속, 종이, 칠보, 도자, 섬유, 유리, 옻칠 등을 비롯한 수많은 전통 공예 재료로 작품을 제작해볼 수 있었습니다. 다양한 공예 재료로 작품을 제작하며 자연스럽게 각 재료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물성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박사과정은 공예사학을 전공하면서 모든 공예 재료는 역사적으로 목적성에 맞게 쓰이며 문화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공예의 재료는 모두 제각기 고유한 특성으로 활용되지만, 특히 옻칠은 도료(장식재)로써 폭넓은 소재(나무, 종이, 삼베, 금속, 도자, 가죽 등)에 활용되었고, 고대부터 접착제로써도 사용되어왔습니다. 장식, 도장재로 접착제로 다양한 공예 소재와 함께하는 특징을 가진 옻칠에 대한 흥미로 깊어지는 방향성을 풀어봅니다.